본문 바로가기

건축 에너지 정책 & 인증

(15)
[연구기관탐방🔎] 실내환경 & 건물 에너지 연구는 누가 할까? – 싱가포르편 🇸🇬 싱가포르는 도시 전체가 하나의 스마트 시스템처럼 움직입니다. 실내공기질도, 냉방도, 조명도 자동 제어되는 건물이 정말 많죠. 고온다습한 열대기후 속에서, 어떻게 ‘시원하고 똑똑한 실내환경’을 만들까?오늘은 싱가포르의 첨단 건물환경 연구기관들을 소개합니다.  BCA SkyLab – 세계 최초 ‘회전형’ 실험건물소속: BCA (Singapore Building and Construction Authority)분야: 실내환경 실측, 환기 시스템 실험, 에너지 절감 기술대표활동:태양 방향에 따라 건물이 회전하여 다양한 조건 시뮬레이션HVAC, 조명, 외피 시스템 통합 실험Zero Energy Lab 연계 연구 수행BCA SkyLab 공식 페이지 Build SG - BCAWE HAVE MOVED The BCA w..
[연구기관탐방🔎] 실내환경 & 건물 에너지 연구는 누가 할까? – 호주편 🇦🇺 “에어컨 없이 여름을 나보셨나요?” 호주는 연중 40도 가까운 날씨도 종종 있는 고온다습국가지만, 에너지 효율과 실내환경 모두를 고려한 건축문화가 정착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남반구의 대표적인 지속가능 건물 강국, 호주의 실내환경 & 건물에너지 연구기관들을 소개합니다.  CSIRO –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소속: 호주 연방정부 과학기술 기관분야: 실내환경, 에너지 효율, 기후 적응형 건축대표활동:MyHealthyHome – 스마트 환기 및 IAQ 모니터링 프로젝트Net Zero Homes 실증 연구기후대응형 주택 디자인 개발CSIRO 공식 웹사이트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
[연구기관탐방🔎] 실내환경 & 건물 에너지 연구는 누가 할까? – EU 공동연구편 🇪🇺 실내환경은 국경을 넘는다 유럽연합은 이 원칙에 충실하게, 건물 에너지 효율과 실내공기질을 유럽 전역에서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한 나라가 아니라, 여러 국가가 함께 만든 기준과 플랫폼. 오늘은 유럽연합 차원의 연구 네트워크를 소개합니다.  IEA-EBC – Energy in Buildings and Communities Programme소속: 국제에너지기구(IEA) 산하 건물/커뮤니티 전담 프로그램성격: EU 및 OECD 다국적 협력 프로젝트분야: 제로에너지건물(ZEB), 환기, 열환경, 제어전략, 사용자 반응대표 프로젝트:EBC Annex 79: 실내환경과 사용자 반응 연결EBC Annex 80: 수요반응형 HVAC 시스템EBC Annex 90: Decarbonized Cooling국가 간 협력을 ..
[연구기관탐방🔎] 실내환경 & 건물 에너지 연구는 누가 할까? – 스위스편 🇨🇭 스위스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치즈, 알프스, 그리고 정밀한 시계.그런데 요즘은 여기에 “정밀한 건물”도 추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스위스는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실증 플랫폼을 운영하며, 실내환경, 에너지 효율, 지속가능성 연구를 선도하는 나라입니다. 그럼, 스위스의 “살아있는 연구소”를 함께 둘러볼까요? EMPA – NEST 실증 플랫폼소속: 스위스연방 재료과학기술연구소 (EMPA)분야: 실내공기질, 에너지 시스템, 새로운 건축 기술 실증대표 활동:NEST: 모듈형 실험 건물 – 실제 사람이 거주하는 실험 유닛 운영Zero Emission Building 기술 실험디지털 제어 기반 HVAC 성능 테스트가장 현실적인 조건에서 스마트 건물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세계적인 테스트베드입니다.NEST 공식 페..
[연구기관탐방🔎] 실내환경 & 건물 에너지 연구는 누가 할까? – 스웨덴편 🇸🇪 “스웨덴은 겨울에도 창문을 연다.”이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저도 모르게 눈이 동그래졌습니다.하지만 그 안에는 기술력과 실내환경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습니다.오늘은 북유럽 감성 속에서 ‘진짜 스마트한 건물환경’을 구현하는 스웨덴의 대표 연구기관들을 소개합니다.  RISE – Research Institutes of Sweden소속: 스웨덴 정부 산하 국가 기술연구기관분야: 지속가능 건물, IAQ, HVAC 시스템, 스마트 센서대표 활동:HVAC 시스템 표준화 및 성능 시험Zero Emission Building 시뮬레이션디지털 트윈 기반 실내환경 제어 실증스웨덴의 스마트빌딩 기술을 뒷받침하는 핵심 연구기관입니다.공식 웹사이트 바로가기 RISERISE is a state owned research insti..
[연구기관탐방🔎] 실내환경 & 건물 에너지 연구는 누가 할까? – 프랑스편 🇫🇷 파리에 여행 갔을 때, 에펠탑보다 더 기억에 남는 건에어비앤비 방에 들어가자마자 느껴졌던 공기였습니다.“응..? 이 방 공기가… 뭔가 다르다?” 알고 보니 프랑스는 실내공기질(IAQ)을 국가가 직접 조사하고, 건축물 환기 기준을 법으로 정하고 실증까지 하는 나라였습니다. 오늘은 감성과 과학이 공존하는 나라, 프랑스의 건축환경 연구기관들을 소개합니다. CSTB – Centre Scientifique et Technique du Bâtiment소속: 프랑스 정부 산하 공공연구기관 (국토전략부 연결)분야: 건축물 성능평가, 실내공기질, 에너지 인증, 디지털 빌딩대표 활동:RE2020 (에너지·환경 기준) 개발 참여건물 환기 시스템 시험 및 인증실내환경 시뮬레이션 및 BIM 연계프랑스 건축 기술의 기준이 되는 ..
[연구기관탐방🔎] 실내환경 & 건물 에너지 연구는 누가 할까? – 독일편 🇩🇪 독일 여행을 다녀온 친구가 이렇게 말했습니다.“건물 안이 너무 조용하고, 따뜻하고, 뭔가… 딱딱 정확해.”그 말 듣자마자 ‘아, 여긴 확실히 실내환경 연구 잘하는 나라구나’ 싶었죠. 실제로 독일은 전 세계에서 건물 에너지 효율과 실내 쾌적성을 가장 정밀하게 연구하고, 실생활에 적용하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특히 단열, 환기, 열회수 시스템, 패시브 설계… 전부 독일이 한 수 위예요. 그럼 오늘은,“에너지 효율이 미학이다”라는 철학으로 무장한 독일의 연구소들을 살펴봅니다.  Fraunhofer IBP – 건축물리연구소소속: Fraunhofer 협회 산하분야: 열환경, 실내공기질, 음향, 조명, 습기, 건물물리대표 활동:WUFI: 벽체·지붕 습기 해석용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열·음·습기 통합 실내환경 챔버 실험..
[연구기관탐방🔎] 실내환경 & 건물 에너지 연구는 누가 할까? – 영국편 🇬🇧 얼마 전 친구와 런던 여행 중, 숙소에 들어서자마자 들었던 말.   “영국 건물은 왜 이렇게 추울까?”  물론 100년 된 건물이라 그랬겠지만, 그 순간 영국의 건축 환경 연구가 궁금해졌습니다.놀랍게도, 영국은 ‘건물환경 연구’의 원조 국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BREEAM 인증을 세계 최초로 개발실내환경(IEQ)을 조명, 음향, 환기, 열까지 세분화하여 분석정책, 기술, 산업까지 연결하는 연구 생태계 보유  이번 편에서는 영국의 대표 건물환경 연구기관들을 소개합니다.  BRE –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소속: 민간 독립 연구기관 (초창기에는 정부 연구소)주요 분야: 건축환경 전반 (에너지, 환기, 조명, 음향, 자재, 쾌적성 등)대표 활동:BREEAM 인증 제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