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 Architecture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산유체역학(CFD)] 더위를 많이 타는 사람을 에어컨 바람이 잘나오는 자리에 앉히자 봄입니다.아직 한여름도 아니지만,오피스에는 컴퓨터처럼 열이 발생하는 장비가 많아서, 벌써 좀 덥다 싶을 땐 에어컨을 틀기 시작하죠. 이렇게 오피스에서 에어컨을 많이 틀다보니,여름철에 앉아서 연구를 하다 보면 재미있는 상황을 보게 됩니다. 갑자기 누가 에어컨 바람이 너무 춥다며 에어컨을 꺼요. 그럼 바로 다른사람이 더운데 에어컨을 왜 끄냐면서 다시 에어컨을 켜요. 그럼 조금 있다가 다시 누가 가서 에어컨을 또 꺼요. 결국 에어컨을 풀로 틀어놓고 추운 사람이 겉옷을 껴입자는 쪽으로 보통 결론이 나죠! 여름철 지하철에서도 비슷한 상황을 많이 보시죠? 저는 겉옷을 껴입어도 추워서 전기방석을 틀고 앉아서 뜨거운 물을 마시는 쪽입니다.여름에는 지하철이 춥고 오피스가 추워서 출근하기 정말 괴로워요. 이.. [수학/공학] 퍼지(fuzzy)란? - 퍼지 이론, 퍼지 논리, 퍼지 집합, 퍼지함수, 퍼지 패턴인식, 퍼지 예측 모델 퍼지(fuzzy) 라는 단어를 들어 보셨나요?이 영단어는 흐릿한, 명확하지 않은, 애매한이라는 뜻을 갖고 있죠. 퍼지 논리(fuzzy logic), 다른 말로 퍼지 이론(fuzzy theory)은 현실세계의 불확실성이나 애매함을 수학적으로 다루기 위해 아제르바이잔 출신의 미국인 수학자이자 공학자인 롯피 자데(Lotfi A. Zadeh)가 제안한 개념입니다. 그는 자신의 아내의 아름다움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이 이론을 고안했다고 합니다. 아름다움이란 감정적인 개념은 그 정도를 0이나 0.5, 혹은 1의 정확한 숫자로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애매모호한 개념이죠. 기존의 수학적 방법으로는 나타낼 수가 없었습니다. 이처럼, 현실 세계에는 아름다움과 같이 수학적으로 정확하고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인공지능/머신러닝] 딥러닝 기반의 건축물 정밀점검 및 손상인식 방법 국내 건설기술의 고도화와 4차 산업기술의 발달은 점차 건축물의 고층화·대형화·복합화를 양산하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건축물에 대한 진단 및 유지관리는 1995년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 이후 현재까지 기술수준이 심화되지 못한 실정입니다. 현재 건축물 정밀 점검은 주로 조사자의 육안 관찰, 수기방식 및 부분 사진촬영 등의 방식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가 어려우며 건축물의 상시관찰이 불가능하고, 그 결과가 보고서 형태로 관리되어 정보 활용도가 저조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건축물 정밀점검에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4차 산업기술인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특히 딥러닝(Deep Lear..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