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에너지 정책 & 인증

[건물 에너지 인증제도] 에너지스타(Energy Star)란?

에너지 절약이나 친환경 건물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 바로 에너지스타(Energy Star)입니다.

대부분은 냉장고나 세탁기 같은 가전제품에 붙은 파란 별 마크로 익숙하실 텐데요.

 

[그림 1] 에너지스타 인증 가전제품 예시 ※ 이미지 출처: https://www.dehumidifierbuyersguide.com/energy-efficiency/

 

사실 이 인증은 건물에도 주어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에너지스타란 뭔가요?"라는 질문에 대해, 어렵지 않게 설명해보겠습니다.

 

 

[그림 2] 에너지스타 건물 인증 개요 인포그래픽. 운영 성능 기반의 인증이라는 점이 핵심이다.※ 이미지 출처: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NERGY STAR Program (energystar.gov)

 

 

에너지스타는 뭐예요?

에너지스타는 미국 환경청(EPA)이 운영하는 에너지 효율 우수 제품 및 건물 인증 프로그램입니다.

 

1992년에는 가전제품 중심으로 시작됐고, 1999년부터는 운영 중인 건물에도 인증을 부여하고 있어요.

그래서 사무실, 학교, 병원, 소매점, 호텔, 물류창고 같은 상업용 건물도 실제 에너지 효율이 상위 25% 안에 들면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거죠.

 

건물용 에너지스타는 말 그대로, 운영 중인 건물의 실제 에너지 사용 성능이 얼마나 우수한지를 평가해주는 제도입니다. 설계가 아니라, 실제 사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점수를 매긴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에요.

 

 

어떻게 점수를 매기나요?

 

에너지스타는 1점에서 100점까지의 점수(ENERGY STAR Score)를 매기고, 75점 이상이면 인증 대상이 됩니다.

  • 75점 = 전국 유사 건물 중 상위 25% 안에 드는 에너지 효율
  • 평가 기준: 전기, 가스 사용량 / 면적 / 운영 시간 / 건물 용도 등

이 점수는 EPA의 ‘포트폴리오 매니저(Portfolio Manager)’라는 웹툴을 통해 계산할 수 있어요.

https://www.energystar.gov/buildings/benchmark

 

Benchmark Your Building With Portfolio Manager

Secure .gov websites use HTTPS A lock (LockA locked padlock) or https:// means you’ve safely connected to the .gov website. Share sensitive information only on official, secure websites.

www.energystar.gov

 

이 툴에 건물의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점수가 나옵니다.

 

에너지스타 인증을 받으려면?

  1. 포트폴리오 매니저에 건물 정보 및 에너지 사용량 입력
  2. 점수가 75점 이상이면, 제3자 전문 엔지니어(PE)의 검토와 확인을 거쳐 인증 신청
  3. EPA가 서류 검토 후, 인증서 발급

인증을 받은 건물은 외부에 ‘ENERGY STAR’ 마크를 부착할 수 있고, 마케팅 자료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스타 인증의 장점

  • 운영 에너지 효율이 실제로 좋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
  • 관리비 절감 효과
  • ESG 평가, 공공입찰, 임대 마케팅 시 신뢰도 상승

에너지스타는 설계 성능 아닌 ‘운영 성능’ 인증입니다.

 

LEED나 ZEB 같은 인증은 설계나 공사 단계에서 친환경 요소를 얼마나 잘 넣었는지를 평가하지만, 에너지스타는 건물이 실제로 운영되면서 얼마나 에너지 효율이 좋은지를 기준으로 인증을 줍니다.

 

그래서 기존 건물, 오래된 건물도 관리를 잘 해서 높은 점수를 받으면 인증이 가능해요.

이게 바로 에너지스타의 실용적인 매력입니다.

 

 

정리하며

 

에너지스타는 미국에서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건물에게 주는 인증입니다. 설계가 아닌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점수를 매기고, 상위 25% 안에 들면 인증을 받을 수 있죠.

 

다음 글에서는 이 에너지스타와 LEED, 국내의 녹색건축인증제도와 어떤 점이 다른지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다음 글 예고

  • 미국의 고효율 건물 인증제도 비교: 에너지스타 vs LEED
  • 국내 녹색건축인증과의 공통점과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