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건 요즘 전 세계적으로 아주 중요한 이슈예요.
그래서 나라별로 건물 에너지에 관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우리나라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와 미국의 ‘BECP(Building Energy Codes Program)’을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둘이 어떤 기준을 가지고 평가하는지, 실제 현장에서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한 번 살펴볼게요.


한국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는 어떻게 운영될까?
제도 개요
- 국토교통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제도예요.
-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1++ ~ 7등급까지 나눠서 등급화합니다.
- 주거용이든 비주거용이든 대부분 건물이 대상이고, 설계 전이나 사용승인 단계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
어떤 기준으로 평가하나요?
- 연간 1차 에너지 소요량 (kWh/m²·년)
- 건물 외피의 단열 성능, 창호 성능, 기밀성
- 냉난방, 급탕, 조명 같은 설비의 효율
실제 현장에서는 이렇게 쓰여요
- 공공건축물은 일정 등급 이상을 받아야 해요.
-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이나 녹색건축 인증과도 연계됩니다.
- ‘건축물 에너지평가 프로그램’이라는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해요.

미국의 BECP는 어떤 방식일까?
제도 개요
- BECP는 미국 에너지부(DOE)가 운영하고 있어요.
- IECC나 ASHRAE Standard 90.1 같은 에너지 코드들을 각 주(State)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해 사용합니다.
- 코드 개발, 교육 자료 제공, 기술 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맡고 있어요.
평가 기준은?
- 건물 외피 성능, 조명 밀도, 냉난방 설비 효율, 시스템 제어 항목 등을 포함해서, 최소한의 성능 기준을 정해놓고 있어요.
실무 적용 방식은?
- 건축허가를 받으려면 해당 주의 에너지 코드에 맞춰야 해요.
- BECP에서 제공하는 COMcheck라는 툴로 코드 준수 여부를 확인합니다.
- LEED 인증이나 에너지스타 같은 고효율 건물 인증과도 연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제도 간 비교 정리
항목 | 한국: 에너지효율등급 | 미국: BECP |
---|---|---|
운영 주체 | 국토교통부 / 한국에너지공단 | DOE / 주 정부 |
적용 방식 | 국가 기준, 등급 체계 | 주 단위 자율 코드 채택 |
법적 강제성 | 일부 건물 의무 적용 | 주마다 상이 (법제화 여부 다름) |
평가 방식 | 등급 산정(1++ ~ 7) | 코드 기준 충족 여부 |
사용 툴 | 건축물 에너지평가 프로그램 | COMcheck, REScheck |
활용 목적 | ZEB, 녹색건축, 인허가 | 건축 인허가, 인증 연계 |
그럼 에너지스타는 뭐가 다를까?
미국에는 BECP 외에도 ‘에너지스타(Energy Star)’라는 인증 프로그램이 있어요.
이건 법적으로 의무는 아니고, 운영 에너지 성능이 상위 25% 안에 드는 건물에 주어지는 자발적인 인증이에요.
BECP가 최소한의 기준을 강제하는 구조라면, 에너지스타는 “우수 성능”을 인증하는 개념에 더 가깝죠.
사실 우리나라의 녹색건축 인증제와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마무리하면서
한국과 미국은 제도 운영 방식은 다르지만,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건축문화를 만들겠다는 큰 방향은 같아요.
- 한국은 중앙정부 주도의 통일된 등급 체계
- 미국은 주 단위 자율 코드 운영 구조
실무에서는 프로젝트가 어느 나라에서 진행되느냐에 따라, 어떤 기준을 참고하고 어떤 툴을 써야 하는지가 달라지겠죠.
오늘 글이 그 차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다음 글 예고
- ‘건축물 에너지평가 프로그램’으로 국내 에너지효율등급 시뮬레이션 실습
- 에너지스타와 녹색건축인증 비교: 고효율 건물 인증제도 정리
'건축 에너지 정책 & 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기관탐방🔎] 실내환경 & 건물 에너지 연구는 누가 할까? – 한국편 🇰🇷 (0) | 2025.04.09 |
---|---|
[건물 에너지 인증 비교] 에너지스타 vs LEED, 뭐가 다를까? (1) | 2025.04.08 |
[건물 에너지 인증제도] 에너지스타(Energy Star)란? (1) | 2025.04.08 |
[신재생/태양 에너지] 덕 커브(Duck curve)란? (1) | 2024.02.29 |
[전력 / 에너지] 수요 반응(Demand Response)이란? (3) | 2024.02.29 |